의’ 첫 회의를 마친 뒤 회의장을
페이지 정보

본문
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(앞줄 왼쪽)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미국 워싱턴 재무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‘2+2통상협의’ 첫 회의를 마친 뒤 회의장을 떠나고 있다.
차분하게협의”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(현지시간)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진행한 ‘한미 2+2통상협의’ 결과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.
최상목(왼쪽 두 번째)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(이론쪽 두 번째) 산업통상자원부 장관.
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(현지시간)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열린 '한.
기대를 모았던 상호관세 유예 및 방위비 협상의 결과물은 테이블에 오르지도 못했다.
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'서프라이즈' 등판도.
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(현지시간)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열린 '한-미 2+2통상협의(Trade Consultation)'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.
(왼쪽부터) 안 산업부 장관, 최 부총리,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, 제이미슨.
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(현지 시간) 미국 워싱턴D.
주미대사관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한-미 2+2통상협의(Trade Consultation) 관련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.
com /사진=류현주 한미 재무·통상장관 회의.
한국과 미국이 24일(현지시각) 미국 워싱턴 D.
에서 ‘2+2통상협의’에서 후, 관세·비(非)관세 조치, 경제 안보, 투자 협력, 통화 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‘7월 패키지(july package)’를 마련하기로 뜻을 모았다.
하지만 이날협의에서 양측의 요구 사항.
한미간 처음으로 열린 '2+2통상협의'에서 우리 정부는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에 대한 우리 국민의 우려를 전달하고 양국 모두 이득이 되는 상호호혜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자고 제안했다.
아울러 한국의 에너지 안보 제고 및 미국 조선업 재건을 위해.
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(현지시간) 미국 워성턴D.
재무부에서 열린 ‘한-미 2+2통상협의(Trade Consultation)’에서 스콧 베센트 미국재무장관,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(USTR)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.
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(현지시간)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열린 ’한-미 2+2통상협의(Trade Consultation)‘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.
왼쪽부터 안 산업부 장관, 최 부총리,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, 제이미슨.
- 이전글도움을 주기 위해 온 정성을 25.04.25
- 다음글여전히 유리천장이 있습니다. 25.04.25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